서브 배너

시방서

> 자료집 > 시방서

열교차단재 시방서

우수조달물품지정번호 2016-168
성능인증 27-370
시방서 작성 (주)스타빌엔지니어링
검토 건설사 요청

1. 열교차단재의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조달청 우수제품 「제2016-168호」와 중소기업청 성능인증 「제27-370호」에 지정된 건축물의 창 주위의 열 손실에 의한 건축물 에너지 효율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 하는 목적으로 창 주위의 열교(열 손실)를 저감하는 열교차단재인 발포폴리스틸렌, 발포폴리에틴렌 등을 사용한 단열 공사에 적용한다. 다만 적용 재료 및 공법을 이용하는 단열 공사에 대해서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해당 단열 재료의 제조 및 시공자 시방에 준하여 시공한다.

1.2 관련 시방

건축시방서의 단열 공사

1.3 적용 규격

이 시방에서 언급되지 않은 부분은 한국산업규격(KS)의 적용함을 원칙으로 하되 다음과 같은 적용 규격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KS M 3808 발포폴리스티렌 보온재
조달청 우수제품 「2016-168」 열교차단재
Q마크(2016-078)- 열교차단재

1.4 제출

시공 견본은 필요한 크기로 제출하며 열교차단재의 크기와 모양 등을 확정한다.

1.5 품질 보증

본 시방에 사용되는 열교차단재는 KS 기준과 조달청 규격 및 중소기업청 성능 인증 규격에 준하여 품질을 보증한다.

2. 열교차단재의 품질

2.1 특징

(1)건축물 열교 현상 최소화
(2) 창 주변 결로 및 곰팡이 발생 억제
(3) 건축물 에너지 효율 향상
(4) 마감 시공 품질 향상
(5) 시공성 우수 및 LCC(건축물 생애주기 비용) 효과 상승

2.2 규격

(1) 신규 건축물의 열교차단재 제원

물품식별번호 모델명 크기(mm) 적용 부위 비고
23031585 W200-A1 1,000x200x130 이중창용 직선
23031583 W200-B1 1,000x200x130 커튼월용
23031581 W200-C1 1,000x140x130 외단열용
23031579 W150-A1 1,000x200x80 이중창용
23031577 W150-B1 1,000x140x80 외단열용
23031575 D150-A1 1,000x90x90 출입문용
23031584 W200-A2 300x300x130 이중창용 ㄱ자
23031582 W200-B2 300x300x130 커튼월용
23031580 W200-C2 300x300x130 외단열용
23031578 W150-A2 300x300x80 이중창용
23031576 W150-B2 300x300x80 외단열용
※ 모델명 : W(벽), 200(벽두께), A(외벽타입), 1(열교차단재 형태)
※ 크기 : 길이 x 폭 x 두께 ※ 허용오차(mm) : 길이 ±5.0, 폭 ±5.0, 두께 ±5.0

(2) 리모델링 건축물의 열교차단재 제원

물품식별번호 모델명 크기(mm) 적용 부위 비고
23031585 W200-A1 1,000x200x130 이중창용 직선
23031583 W200-B1 1,000x200x130 커튼월용
23031581 W200-C1 1,000x140x130 외단열용
23031579 W150-A1 1,000x200x80 이중창용
23031577 W150-B1 1,000x140x80 외단열용
23031575 D150-A1 1,000x90x90 출입문용
23031584 W200-A2 300x300x130 이중창용 ㄱ자
23031582 W200-B2 300x300x130 커튼월용
23031580 W200-C2 300x300x130 외단열용
23031578 W150-A2 300x300x80 이중창용
23031576 W150-B2 300x300x80 외단열용
※ 모델명 : W(벽), 200(벽두께), A(외벽타입), 1(열교차단재 형태)
※ 크기 : 길이 x 폭 x 두께 ※ 허용오차(mm) : 길이 ±5.0, 폭 ±5.0, 두께 ±5.0

2.3 품질 기준

(1) 준불연 열교차단재(NFEPS)의 신축 건축물과 리모델링에 적용하는 품질은 아래 기준과 같다.

시험항목 판정기준 시험방법 비고
열방출 시험 총방출열량(MJ/㎡) 8 MJ/㎡이하 KS F ISO5660-1:2015 전모델에 적용
열방출율이 연속으로 200KW/㎡를 초과하는 시간(s) 10 s 이하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심재의 전부용융, 소명)등
없을 것
가스유해성 행동정지시간(min : s) 9 min 이상 KS F 2271:2016
열전도율(W/(mžK) 0.040이하 KS M 3808:2011
※ 제품은 상기 품질기준을 포함, 규격서에 기재한 모든 사항을 만족하며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보유한 모든 품질인증의 시험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2.4 재료 검사

(1) 현장에 반입되는 열교차단재는 한국산업규격(KS) 또는 산업자원부 장관의 형식 승인 여부 및 재료의 규격, 품질 등이 도면 또는 공사 시방서와 일치하는 여부에 대하여 담당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2) 공사 착수 전에 열교차단재의 견본 및 성능시험서(시험성적표 1년 이내)를 담당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5 재료의 운반, 저장 및 취급

(1) 열교차단재는 운반 및 취급 시 한국산업규격(KS)에 제시되어 있는 단열재로 손상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2) 열교차단재는 직사일광이나 비, 바람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으며, 습기가 적는 곳에 용도, 형상 등에 따라 구분하여 보관한다.
(3) 열교차단재 위에 중량물을 올려놓지 않도록 하며 2개월 이상 방치하지 않도록 한다.

2.5 재료의 운반, 저장 및 취급

(1) 열교차단재는 운반 및 취급 시 한국산업규격(KS)에 제시되어 있는 단열재로 손상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2) 열교차단재는 직사일광이나 비, 바람 등에 직접 노출되지 않으며, 습기가 적는 곳에 용도, 형상 등에 따라 구분하여 보관한다.
(3) 열교차단재 위에 중량물을 올려놓지 않도록 하며 2개월 이상 방치하지 않도록 한다.

3. 열교차단재의 시공

3.1 신축 건축물의 열교차단재 시공

(1) 공사 전 검사
시공 전에 적용할 부위에 대한 설계도면 및 시방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부적하한 경우 시정이 된 후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2) 공사 순서
(가) 벽체의 거푸집 설치와 동시에 열교차단재(본체와 메움체)를 설치한다.
(나) 콘크리트를 타설 후 일정 양생 후 거푸집 탈형과 동시에 열교차단재의 메움체를 제거한다.
(다) 창호 설치와 외벽단열재를 설치한다.
(라) 외부 마감(조적 금속재 외) 시공을 실시한다.

(3) 공사 후 검사
시공 후에 적용할 부위에 대한 설계도면 및 시방에 적합한지 확인하여야 한다. 이상의 시공 순서를 도식화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3.2 리모델링 건축물의 열교차단재 시공

(1) 공사 전 검사
시공 전에 적용할 부위에 대한 설계도면 및 시방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부적합한 경우 시정이 된 후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2) 공사 순서
(가) 기존 건축물의 외장재와 창호를 제거한다.
(나) 콘크리트 외벽에 외단열을 시공하고 창 개구부에 열교차단재를 설치한다.
(다) 열교차단재는 콘크리트와 외단열과 일체화시키고 그 위에 창호를 설치한다.
(라) 창호 설치 후 외부 마감을 실시한다.

(3) 공사 후 검사
시공 후에 적용할 부위에 대한 설계도면 및 시방에 적합한지 확인하여야 한다. 이상의 시공에 의해 완성된 그림은 아래와 같다.

4. 기타

이 시방에 명시되지 않은 상항은 일반 상관례를 따른다.